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온라인 매거진

아아: Asia&Asias 2025년 14호 (2025년 9월 18일)

웹진 < 아아: Asia&Asias > 2025년 14호의 주제는 캄보디아-태국 국경분쟁과 한국의 제2차 중동 붐에 대한 전망입니다.

<아시아 브리프>에서는 박진영 전남대학교 교수가 2025년 캄보디아-태국 국경분쟁이 양국 사이 단순한 군사 충돌을 넘어 캄보디아와 태국 정치의 불안정과 아세안 외교의 취약서을 드러내는 사례라고 진단합니다.

<다양성+Asia>는 ‘아시아-아프리카의 신산업’이라는 주제 아래 아시아 각 지역이 국제 경제적 변화에 대응해 육성하는 신산업 현황을 조명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노다솔 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가 한국의 ‘2차 중동 붐’의 상황을 조명하고 한국의 대중동 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합니다.

웹진 편집위원회

아시아브리프

다양성+아시아

아연의 아시아연구

살레카나: 자이나교의 자발적 단식 존엄사


양영순(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 선임연구원)

자이나교의 살레카나, 즉 자발적인 단식사(斷食死)는 무엇인가? 이 책은 살레카나를 중심으로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시한다.

The Earliest Introduction of Iron into the Yŏngnam Region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Evidence and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 30, No. 1

고일홍(아시아연구소 HK교수)

이 글은 낙랑군 이전에도 영남에서 철기가 쓰였을 가능성을 검토한다. 철기의 이동을 유민 집단과 사회 변화와 연결해 설명하면서, 고대 동아시아 물질문화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고대 및 역사시대 채석장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 고창 죽림리 채석장 재사유하기

『견지인문학』 42권

고일홍(아시아연구소 HK교수)

죽림리 채석장은 고인돌 제작과정뿐 아니라 장소의 특별한 의미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최신 고고학 이론을 적용해 재해석하면서, 지질유산과의 관련성까지 포함해 그 보편적 가치를 새롭게 드러냈다.

고려인 정책과 정부-시민사회의 상호작용: 안산시 고려인 집거지 사례

『슬라브학보』 40권 2호

주송하(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 공동연구원)

안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부와 시민사회의 고려인 정책 협력 양상을 분석하였다. 지방정부는 고려인 공동체를 지원하며 시민사회로부터 정책 집행의 도움을 받고, 시민단체는 정착 지원과 정책 전달자로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연구는 정부-시민사회 관계가 상호보완적이지만 정부 지원의 한계도 드러난다고 결론짓는다.

문화유적 자료를 통해 살펴본 한국의 토지이용과 공간구조의 시공간적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50권 2호

박수진(서울대학교), 고일홍(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교수), 안유순(국토연구원), 심우진(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이 연구는 구석기부터 현대까지의 유적 자료를 분석해 한국의 토지이용과 정주체계 변화를 다섯 단계로 정리했다. 초기에는 하천과 해안에 집중되었고, 이후 농경 확산, 인구 증가, 수도 중심 집중, 근대 토목기술 도입 등을 거치며 점차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로 발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