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온라인 매거진

아아: Asia&Asias 2025년 11호

웹진 < 아아: Asia&Asias > 2025년 11호의 주제는 한국의 서아시아·아프리카 정책 제언과 중앙아시아의 기후 변화가 가져온 이주입니다.

<아시아 브리프>에서는 한국의 새 정부에 바라는 지역별 정책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이번 호에는 서아시아·아프리카 정책에 관한 글 두 편이 게재되었습니다.
오종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튀르키예의 중재 외교를 모델로 한국이 대중동 외교에 있어 중견국 협력을 제도화하는 다자 협력을 주도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조화림 전북대학교 교수는 청년을 중심으로 인적 교류를 확대해 한국과 아프리카가 상호 호해할 수 있는 협력 모델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다양성+Asia>는 ‘아시아·아프리카의 기후변화와 영향’이라는 주제 아래에 고가영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가 아랄해의 소멸과 소련 시기 카자흐스탄에서 이루어진 핵실험이 중앙아시아 환경에 초래한 문제를 진단합니다.

웹진 편집위원회

<아시아 브리프>는 아시아 지역의 주요 현안과 이슈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제공하고, 정책적 진단과 대안을 제시하는 정책 리포트입니다.

훈 센이 왜 그랬을까?: 통화 유출, 국경 갈등 그리고 정치적 계산

2025년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은 단순한 군사 충돌을 넘어 양국 정치의 불안정성과 아세안 외교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특히 훈 센 전 총리의 태국 총리와의 통화 내용 유출은 국내적으로 민족주의 결집과 정치적 입지 강화를 가져왔으나, 외교적 신뢰를 무너뜨리고 양국 관계를 악화시켰다. 이 사건은 아세안 방식 외교의 핵심인 비공식적 신뢰 네트워크에 심각한 균열을 남겼으며, 캄보디아는 ‘믿을 수 없는 파트너’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얻게 되었다. 결국 이번 사태는 개인 권력자의 계산이 역내 질서를 흔들 수 있음을 보여준다.

베트남 행정개혁의 배경과 의미

이 글은 2025년 베트남의 국가조직개혁을 분석한다. 이번 개혁은 중앙부처 축소와 성(省) 단위 통합, 하위 행정단위 정비를 포함해 국가 체제 전반을 재편한 전례 없는 조치였다. 이는 또럼 총비서가 제시한 ‘민족부흥의 시대’ 구상과 도이머이 40주년을 앞둔 체제 업그레이드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성 통합은 행정 효율성 제고와 지역 불균형 해소 같은 경제적 목표와 더불어, 중앙위원회 내 지방 대표 축소를 통해 중앙집권화를 심화시켰다. 결과적으로 남부의 정치적 영향력은 약화되고, 북부와 일부 성들이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면서 권력 재편이 이루어졌다. 이는 또럼 총비서의 권력 강화를 뒷받침하며, 제14차 당대회에서 최고 권력 구조 변화 가능성까지 시사한다.

<다양성+Asia>는 공통된 이슈를 중심으로 여러 아시아 국가들을 비교 관점에서 분석하는 온라인 매거진입니다.

사우디 네옴시티와 제2차 중동 붐, 기회인가 환상인가?

1970~80년대 산유국의 경제개발 의지와 한국의 외화 확보 필요가 서로 맞물린 결과, 우리는 ‘제1차 중동 붐’이라는 성과를 목격하였다. 최근 ‘제2차 중동 붐’은 그 범위와 규모에서 제1차 중동 붐을 능가한다. 그러나 현재 중동 산유국은 우리의 기술뿐만 아니라 투자, 현지화, 기술 이전 등 그들의 경제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을 조건화한다는 점에서 과거의 산업 협력과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본 칼럼은 제1⸱2차 중동 붐의 배경과 특징에 대해 비교한 후, 제2차 중동 붐을 현실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간략히 검토한다.

아연의 아시아연구

단행본

살레카나: 자이나교의 자발적 단식 존엄사


양영순(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 선임연구원)

자이나교의 살레카나, 즉 자발적인 단식사(斷食死)는 무엇인가? 이 책은 살레카나를 중심으로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시한다.

논문

The Earliest Introduction of Iron into the Yŏngnam Region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Evidence and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 30, No. 1

고일홍(아시아연구소 HK교수)

이 글은 낙랑군 이전에도 영남에서 철기가 쓰였을 가능성을 검토한다. 철기의 이동을 유민 집단과 사회 변화와 연결해 설명하면서, 고대 동아시아 물질문화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고대 및 역사시대 채석장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 고창 죽림리 채석장 재사유하기

『견지인문학』 42권

고일홍(아시아연구소 HK교수)

죽림리 채석장은 고인돌 제작과정뿐 아니라 장소의 특별한 의미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최신 고고학 이론을 적용해 재해석하면서, 지질유산과의 관련성까지 포함해 그 보편적 가치를 새롭게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