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온라인 매거진

아아: Asia&Asias 2025년 10호

웹진 < 아아: Asia&Asias > 2025년 10호의 주제는 한국의 동북아시아·동남아시아 정책 제언과 인도의 에너지 전환입니다.

<아시아 브리프>에서는 한국의 새 정부에 바라는 지역별 정책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이번 호에는 동북아시아·동남아시아 정책에 관한 글 두 편이 게재되었습니다.
남기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소장이 대일본 정책을 제안하며 ‘포스트 1965년 체제’를 모색할 것을 강조합니다. 김동엽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는 아세안의 지정학적, 경제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활발한 인적교류를 바탕으로 외교 다변화에 노력할 것을 제안합니다.

<다양성+Asia>는 ‘아시아·아프리카의 기후변화와 영향’이라는 주제 아래에 김기상 한국수출입은행 아시아2부 부장이 인도의 에너지 전환을 통한 탄소 절감 정책을 살펴보고 탄소 전환으로 향하는 길에 놓인 장애물을 분석합니다.

웹진 편집위원회

<아시아 브리프>는 아시아 지역의 주요 현안과 이슈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제공하고, 정책적 진단과 대안을 제시하는 정책 리포트입니다.

한국 신정부의 대(對)중앙아시아 정책 제언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최근 내부 협력에 힘쓰면서 외부적으로도 협력관계를 다변화하고 있다. 한국 신정부는 중앙아시아 공동의 협력사업을 발굴하되, 국별 상황에 따라, 첨단 산업 분야와 ODA를 연계한 소규모 사업 개발 등을 다층화하여 추진하는 협력 전략을 전개해야 한다.

새 정부에 바란다: 대(對) 인도 외교 제언

최근 지속적인 교류에도 불구하고 큰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하기 힘든 한국-인도 관계는 글로벌 안보환경 악화, 경제적 불확실성 확대, 신흥 안보 위기 확산,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 미국 우선주의 정책 등의 요인들로 인해 양적, 질적 전환을 기대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였다. 조선업, 방산, 해양안보, 우주, 반도체, AI 등 여러 분야에서 양국은 긴밀히 협력할 수 있기에 실용외교 측면에서 협력의 제도화 등을 통한 장기적인 전략적 협력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다양성+Asia>는 공통된 이슈를 중심으로 여러 아시아 국가들을 비교 관점에서 분석하는 온라인 매거진입니다.

중국의 AI 제조 혁명: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중국은 ‘중국제조 2025’ 추진 10년간 AI, Io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제조업에 적극 도입하며 ‘제조 대국’에서 ‘제조 강국’으로 도약했다. 그 결과 세계경제포럼 등대공장 중 중국 기업은 40%를 차지하며 그 우수성을 입증했다. 대표적인 사례인 CATL은 AI 기반 프로세스 제어를 통해 생산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켰고, 하이얼은 iMES 시스템으로 대규모 맞춤형 생산을 구현했으며, 샤오미는 완전 자동화 공장을 통해 ‘Factory as a Service’ 모델을 실현했다. 이러한 중국의 AI 제조 혁신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은 중국 공급망의 전략적 활용과 프리미엄 브랜드 기반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개방형 스마트 제조 플랫폼 구축으로 AI 제조-서비스 통합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아연의 아시아연구

단행본

살레카나: 자이나교의 자발적 단식 존엄사


양영순(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 선임연구원)

자이나교의 살레카나, 즉 자발적인 단식사(斷食死)는 무엇인가? 이 책은 살레카나를 중심으로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시한다.

논문

The Earliest Introduction of Iron into the Yŏngnam Region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Evidence and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 30, No. 1

고일홍(아시아연구소 HK교수)

이 글은 낙랑군 이전에도 영남에서 철기가 쓰였을 가능성을 검토한다. 철기의 이동을 유민 집단과 사회 변화와 연결해 설명하면서, 고대 동아시아 물질문화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고대 및 역사시대 채석장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 고창 죽림리 채석장 재사유하기

『견지인문학』 42권

고일홍(아시아연구소 HK교수)

죽림리 채석장은 고인돌 제작과정뿐 아니라 장소의 특별한 의미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최신 고고학 이론을 적용해 재해석하면서, 지질유산과의 관련성까지 포함해 그 보편적 가치를 새롭게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