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온라인 매거진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본서에서 다루는 내용의 핵심은 아시아에 위치하고 있는 10개국의 사례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교육을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실현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아시아라는 지리적, 문화적, 사회적 특징을 앞세운 상황에서 공통된 무엇인가를 전제하고 이들의 교육이 실천, 수행되는 특징을 찾아 정리하려는 시도와는 거리가 멀다. 특히 본서에서 개념화하는 교육은 한 사회의 실재로서 설명되고 분석되는 내용으로, 이는 교육을 하나의 철학적이고 이념적인 지형으로 온당한 가치를 추구하는 내재적 의미와 실천으로 다루진 않는다. 당장 아시아에 위치한 10개의 국가, 그것도 경제성장 기준에 따라 구분되는 개발도상국 10개 국가의 교육과 발전에 관한 추상적인 가치는 분명 논하기 어려운 분석 대상이다. 물론 SDGs에서 제기하는 구체적인 목표치를 넘어 교육이 추구해야 할 의미를 다루는 마지막 장에서 우리는 교육을 좀 더 가치 중심적이고 사회문화적인 공동체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내재적 실천으로 이해하고 또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공동의 교육정책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저자: 유성상, 방용한, 박경희, 김가영

본서에서 다루는 내용의 핵심은 아시아에 위치하고 있는 10개국의 사례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교육을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실현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아시아라는 지리적, 문화적, 사회적 특징을 앞세운 상황에서 공통된 무엇인가를 전제하고 이들의 교육이 실천, 수행되는 특징을 찾아 정리하려는 시도와는 거리가 멀다. 특히 본서에서 개념화하는 교육은 한 사회의 실재로서 설명되고 분석되는 내용으로, 이는 교육을 하나의 철학적이고 이념적인 지형으로 온당한 가치를 추구하는 내재적 의미와 실천으로 다루진 않는다. 당장 아시아에 위치한 10개의 국가, 그것도 경제성장 기준에 따라 구분되는 개발도상국 10개 국가의 교육과 발전에 관한 추상적인 가치는 분명 논하기 어려운 분석 대상이다. 물론 SDGs에서 제기하는 구체적인 목표치를 넘어 교육이 추구해야 할 의미를 다루는 마지막 장에서 우리는 교육을 좀 더 가치 중심적이고 사회문화적인 공동체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내재적 실천으로 이해하고 또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공동의 교육정책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