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온라인 매거진

한강권역 내륙습지에서 토양 입자 크기의 지리적 분포와 IPCC 가이드라인에 따른 사질 토양 분류

이 연구는 한강 내륙 습지의 흙 입자 크기 분포를 조사하고,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해발고도가 흙의 분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모래흙은 주로 상류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또한 모래흙은 상당한 양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 온실가스 관리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강권역 내륙습지에서 토양 입자 크기의 지리적 분포와 IPCC 가이드라인에 따른 사질 토양 분류

정관용(전남대학교), 심우진(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한국지형학회지』 32권 1호

한강 내륙 습지의 흙 입자 분포와 환경 요인은 어떤 관련이 있으며, 모래흙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particle size and its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inland wetlands of the Hangang River Region, as well as to classify sandy soil based on IPCC guidelines for soil carbon stock evaluation. Soil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survey sites, and the Random Forest algorithm was used to predic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and and clay content, which served as the basis for sandy soil. The analysis revealed that elevation and mean elevation derived from the Korean Reach File (KRF)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o soil particle size distribution, with sandy soil predominantly concentrated in the upper reaches of the Hangang River. The estimated carbon stock in sandy soil within inland wetlands was about 1.247 million ton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refinement of accumulation coefficients tailored to domestic condi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by providing soil data for inland wetlands.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