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아: Asia&Asias 2025년 3호
웹진 < 아아: Asia&Asias > 2025년 3호의 주제는 미중 AI 경쟁과 동남아시아 민주주의의 위기를 살펴봅니다.
<아시아 브리프>에서는 윤대엽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및 국가안전융합학부 교수가 미국과 중국의 AI 기술 경쟁이 미칠 파급력을 분석합니다. 미국과 중국은 AI 기술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으며,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디지털 기술을 정치적 무기로 삼고 있습니다. 중국은 자국 중심의 AI 모델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트럼프는 바이든 행정부가 세운 책임 있는 AI 규제를 없애고 공격적인 전략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의 ‘미국 우선’ 정책은 미국의 AI 리더십에 위험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쟁의 향방은 결국 미국과 중국 밖의 다른 나라들, 즉 ‘나머지 세계’가 어떤 방향을 선택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바로 ‘나머지 세계’가 AI를 사용하고 데이터를 제공하며, AI 질서와 세력권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현재의 AI 경쟁은 단순한 기술 싸움이 아니라, 정치적인 세력 다툼으로까지 확대되고 있습니다.
<다양성+Asia>는 '아시아-아프리카의 민주주의의 위기와 도전'이라는 주제로 아시아 각국의 민주주의가 직면한 도전을 분석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서지원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동남아시아전공 교수가 동남아시아 민주주의의 위기를 진단합니다. 동남아시아의 민주주의는 위기를 겪고 있지만, 그 원인은 단일하지 않습니다. 이 글은 태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필리핀의 상황을 군부정치, 세습정치, 초국적 탄압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설명합니다. 군부정치는 정당성 문제에 부딪히고 있으며, 세습정치는 선거 제도를 통해 권력이 대물림되고 있습니다. 초국적 탄압은 주변국 정부 간의 억압적 연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동남아의 민주주의 위기는 다양한 권위주의적 요소들이 얽혀 있는 복합적인 문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