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ptual History and Self-Representation of “Nation” in North Korea: Between Traditional Limits and the Absence of New Ideal
노현종(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 공동연구원)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Vol. 15, No. 2
이 글은 북한의 민족과 민족주의 담론은 크게 세 시기에 걸쳐 변화해왔다. 사회주의 안정기에는 다층적 민족 개념이 나타났고, 1980년대 위기 속에서는 ‘조선민족제일주의’가 등장해 정체성을 재정의했으며, 김정은 시대에는 ‘국가’가 ‘민족’보다 우선시되었다. 그러나 2018년 남북 대화 시기 잠시 민족 담론이 부활했다가 하노이 회담 이후 다시 축소되었으며, 한국의 번영과 민족 개념의 지속성은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 담론의 정당성을 흔들고 있다.
The Conceptual History and Self-Representation of “Nation” in North Korea: Between Traditional Limits and the Absence of New Ideal
노현종(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 공동연구원)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Vol. 15, No.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