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온라인 매거진

중동 석유의 정치적 역할에 대한 재고찰: 중동과 미국 관계를 중심으로

이 글은 냉전 이후 미국 외교 정책 형성에 중동 석유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한다. 에너지 안보는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과의 관계 형성과 지정학 전략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연구는 자원 저주 및 지대 추구 이론을 통해 석유의 정치·경제적 영향력을 조명하고, 주요 역사적 사건들과 연관 지어 중동 석유의 정치적 의미를 재해석하였다.

중동 석유의 정치적 역할에 대한 재고찰: 중동과 미국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논』 35권 1호

저자: 안소연(아시아연구소 서아시아센터)

미국 외교 정책에서 중동 석유는 어떤 전략적 역할을 해왔는가? 

본 연구는 냉전 시대부터 현재까지 미국 외교 정책을 형성하는 데 있어 중동 석유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에너지 안보가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과 같은 중동의 주요 산유국들과 우호적 관계 구축을 비롯하여 지정학적 전략 구축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자원 저주 이론과 지대 추구 이론 등을 기반으로 석유 자원의 정치 및 경제 역학 관계를 분석하여 석유 자원이 중동 국내외 정치 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1970년대의 오일 쇼크, 걸프전, 9·11 테러 이후의 상황 등 주요 역사적 사건들을 살펴봄으로써 중동 석유 자원 통제라는 명분이 미국의 대중동 정책 구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동 석유 자원의 정치적 의미에 대해 재고찰할 수 있었다.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