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온라인 매거진

시민사회 통제의 정당화 -이집트 정권과 시민사회 관계 사례를 중심으로-

이 글은 아랍의 봄 이후 이집트 엘시시 정권이 시민사회의 저항을 억제하고 정치적 정당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 전략들을 분석한다. 엘시시 정권은 법치를 포함한 다양한 억압 방식으로 시민사회를 통제하며, 동시에 국가 주도의 시민사회 역할을 통해 비판을 회피하고 자발적 시민사회의 필요성을 약화시켰다. 이러한 전략은 정당성 유지와 통제의 이중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시민사회 통제의 정당화 -이집트 정권과 시민사회 관계 사례를 중심으로-

『지중해지역연구』 27권 1호

저자: 안소연(아시아연구소 서아시아센터)

이집트 엘시시 정권은 어떻게 시민사회를 통제하면서도 정권의 정당성을 유지하고 있는가?

Egyptian civil society demonstrated its influence by leading the anti-government protests during the Arab Spring. It played a pivotal role in toppling the iron-fisted rule of Mubarak, Egypt’s long-standing authoritarian leader. However, it now finds itself under the control of a new authoritarian regime led by President el-Sisi. Perceiving civil society as a potential threat, the el-Sisi regime is resolute in its efforts to exert tight control.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overtly oppressive measures, the regime has developed various strategies to suppress civil society while simultaneously reinforcing its legitimac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el-Sisi regime seeks to control civil society and sustain its legitimacy. It analyzes key initiatives such as the NGO law, the National Dialogue designed to supplant the role of civil society, and programs like Haya Karima.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