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July 1, 2025

Asia & Asias 2025년 7호

Webzine 아아: Asia&Asias
2025년 7호
웹진 < 아아: Asia&Asias > 2025년 7호의 주제는 ‘동아시아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아프리카의 기후 변화와 에너지 전환’입니다. <아시아 브리프>에서는 도쿄대학교 세치야마 가쿠 교수가 한국, 일본, 대만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서로 다른 양상과 원인을 분석합니다.
<다양성+Asia>는 ‘아시아·아프리카의 기후변화와 영향’이라는 주제 아래에 남아공 국제관계연구소(SAIIA)의 알렉스 벤켄슈타인(Alex Benkenstein)이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노력을 살펴보고 이로부터 창출되는 기회에 관해 전망합니다.
<아시아 브리프>는 아시아 지역의 주요 현안과 이슈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제공하고, 정책적 진단과 대안을 제시하는 정책 리포트입니다.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을 통해 본 동아시아
저자    세치야마 가쿠[瀬地山 角](도쿄대학교)
한국, 일본, 중화권(대만)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어떤 연령대별 차이를 보이며, 그 차이는 어떤 사회문화적 요인에서 비롯되는가?
한국, 일본, 대만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이는 각국의 교육 수준, 육아 인식, 문화적 가치관 등에 기인한다. 세 나라는 모두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으나, 여성과 고령자의 노동 참여 방식에는 서로 다른 과제가 있다.
내용 자세히 보기
<다양성+Asia>는 공통된 이슈를 중심으로 여러 아시아 국가들을 비교 관점에서 분석하는 온라인 매거진입니다.
아프리카의 기후 변화와 에너지 전환:
위기에서 기회로?
저자    Alex Benkenstein(남아공 국제관계연구소(SAIIA))
아프리카는 기후 변화와 에너지 전환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어떤 상호 이익의 파트너십과 기회가 창출되고 있는가?
아프리카는 기후 변화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통해 경제적 기회와 국제 파트너십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이는 회복력, 자원, 인프라 분야에서의 협력과 성장을 동반하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등에서 그 잠재력이 드러나고 있다.
내용 자세히 보기
아시아연구소의 우수한 연구 성과를 소개합니다.
단행본
북한에는
산업유산이 존재하는가
저자   김태윤(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 『근대의 기억, 산업유산: 폐산업시설은 어떻게 '문화유산'이 되는가』 (박진한 외, 역사비평사, 2025)
북한은 근대 산업시설을 어떻게 유산으로 이용하는가?
김태윤 아시아연구소 학술연구교수는 북한이 식민지 시기의 불편한 기억을 담고 있는 산업시설을 국유화해 활용하는 모습을 연구하고, 산업유산에 대한 북한의 사회적 인식과 미래의 유산 정책을 조명한다.
내용 자세히 보기
논문 #01
『사회와역사』 144권
중국 개혁개방 이후 모유수유 실천의 전개
— 모성과 신체를 둘러싼 엄마들의 분투
저자    김란(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
중국에서 모유수유는 어떠한 사회적, 정치적 의미를 가지는가?
이 연구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에서 모유수유가 정치적으로 제도화되며 여성에게 사회적 압박으로 작용했음을 분석한다. 여성들은 이에 전략적으로 대응하지만, 그 과정에서 신체적 고충은 개인의 책임으로 전가된다. 중국에서 모유수유는 생물학적 본능이 아니라 권력 관계 속에서 형성된 사회적 실천으로 이해된다.
내용 자세히 보기
논문 #02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The shifting dynamics of amity and enmity in the Middle East:
analysing the 2023 Israel-Hamas war through the framework of regional security complex theory
저자    안소연(아시아연구소 서아시아센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을 둘러싼 우호와 적대의 인식 변화는 걸프 국가들의 정치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이 글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 속에서 걸프 국가들이 어떻게 우호와 적대의 인식을 변화시켜 왔는지를 분석한다. 이란의 부상과 아랍의 봄 이후, 걸프 국가는 생존 전략으로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를 모색했으나, 2023년 하마스의 공격 이후 다시 여론의 적대감이 강화되었다. 그 결과, 걸프 국가들은 이스라엘과의 관계 설정에서 신중한 관망 태도를 취하고 있다.
내용 자세히 보기
지난 웹진 보기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101동) 성과확산팀(309호)
Tel  02-880-2087
E-mail  (아시아브리프) snuac.issuebrief@gmail.com
(다양성+Asia) ac.asiareview@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