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bzine 아아: Asia&Asias
2025년 6호 |
웹진 < 아아: Asia&Asias > 2025년 6호의 주제는 ‘인도-파키스탄 분쟁’과 ‘중앙아시아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전략’입니다. |
<아시아 브리프>에서는 아시아연구소 강성용 교수가 최근 인도-파키스탄 분쟁의 배경과 영향을 분석합니다. |
<다양성+Asia>는 ‘아시아·아프리카의 민주주의의 위기와 도전’이라는 주제 아래에 김선희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이 중앙아시아의 권위주의 정권의 특징과 통치 전략을 조명합니다. |
|
 |
<아시아 브리프>는 아시아 지역의 주요 현안과 이슈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제공하고, 정책적 진단과 대안을 제시하는 정책 리포트입니다. |
 |
모디의 군사적 성공과 정치적 실패,
뒤집힌 판세: 인도의 씬두르 작전은
무엇을 남길 것인가? |
저자 강성용(서울대학교) |
최근 인도-파키스탄 분쟁은 인도 정치에 어떠한 영향을 남겼는가? |
5월 초 인도와 파키스탄의 무력 충돌은 인도의 군사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국내외에서 인도의 군사 작전을 실패로 인식하면서 정치적으로는 실패로 평가된다. 무력 충돌의 배경과 원인은 무엇이며, 왜 군사적 승리가 정치적 실패로 평가되는가? |
|
|
|
 |
<다양성+Asia>는 공통된 이슈를 중심으로 여러 아시아 국가들을 비교 관점에서 분석하는 온라인 매거진입니다. |
 |
중앙아시아의 신권위주의,
정당성을 외주화하다 |
저자 김선희(서울대학교) |
중앙아시아 5개국의 권위주의 체제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생존 전략은 무엇인가? |
중앙아시아 5개국은 형식적 민주주의를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는 권위주의 체제를 강화해왔다. 엘리트의 자원 독점, 외국 자본과의 결탁, 강대국의 지원이 그 기반이 되었으며, 정권 정당성은 내부보다 외부에 의존했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와의 협력을 통해 정보통제와 법제도를 공유하며 독자적인 ‘권위주의적 지역주의’를 형성했다. |
|
|
|
지난 웹진 보기 |
 |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101동) 성과확산팀(309호) |
Tel 02-880-2087 |
E-mail (아시아브리프) snuac.issuebrief@gmail.com
(다양성+Asia) ac.asiareview@gmail.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