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bzine 아아: Asia&Asias
2025년 8호 |
웹진 < 아아: Asia&Asias > 2025년 8호의 주제는 ‘이란-이스라엘-미국 분쟁’과 ‘서아시아의 기후 변화와 정치 위기’입니다. |
<아시아 브리프>에서는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구기연 HK교수가 최근 촉발된 이란-이스라엘-미국 분쟁이 중동 정세에 미칠 함의를 분석합니다. |
<다양성+Asia>는 ‘아시아·아프리카의 기후변화와 영향’이라는 주제 아래에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이지수 박사가 기후 변화가 시리아, 이라크, 이란의 정치 불안정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
|
 |
<아시아 브리프>는 아시아 지역의 주요 현안과 이슈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제공하고, 정책적 진단과 대안을 제시하는 정책 리포트입니다. |
 |
중동 새 질서의 서막:
이란-이스라엘 직접 충돌과 미국의 개입 |
저자 구기연(서울대학교) |
이란-이스라엘의 직접 충돌과 미국의 개입은 중동 정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
2025년 6월 13일 이스라엘이 이란을 공습하며 양국의 직접적인 무력 충돌이 발생했으며, 6월 21일에는 미국까지 이란 핵시설을 공습해 분쟁 수위가 더욱 고조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스라엘, 이란, 미국 사이의 분쟁이 중동 정세에 미칠 영향을 전망한다. |
|
|
|
 |
<다양성+Asia>는 공통된 이슈를 중심으로 여러 아시아 국가들을 비교 관점에서 분석하는 온라인 매거진입니다. |
 |
서아시아 정치 불안의 기폭제, ‘기후 위기’ |
저자 이지수(한국외국어대학교) |
기후 변화는 어떻게 서아시아 정치 불안정을 심화하는가? |
시리아 내전, 이라크에서 IS 세력 확장, 이란의 반정부 시위 등은 기후 위기와 정부의 대응 실패가 결합되어 정치 불안을 심화시킨 사례다. 서아시아에서 기후 위기는 안보와 체제 정당성을 위협하는 핵심 요인이다. |
|
|
|
 |
아시아연구소의 우수한 연구 성과를 소개합니다. |
 |
 |
단행본 |
|
|
2024년의 아시아를 되돌아보고 2025년의 아시아를 전망한다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성과확산팀은 2024년도 『아시아브리프』에서 발간된 아시아 지역 현안과 전망에 관한 글을 모아 단행본 『2024-2025 아시아의 맥(脈)을 짚다』을 출간했다. 2024년에 아시아 각지에 일어난 상황을 회고, 조망하고 아시아의 2025년도 정세를 전망하는 글 22편이 수록되었다. |
|
|
꿈속으로 들어가기, 꿈속에서 깨어나기 |
저자 양영순(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 『상처의 풍경: 내 마음의 상처를 마주하다』 (마인드랩 편집부, 마인드랩, 2025) |
|
 |
|
꿈에 드는 것과 꿈에서 깨어나는 것을 인도 철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
양영순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 선임연구원은 인도와 티벳 철학을 바탕으로 꿈에 드는 것과 꿈에서 깨어나는 것이 지닌 의미를 분석하고, 꿈을 능동적이고 의식적으로 변화시키려는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
|
고대 동북아시아 네트워크와 창원 다호리 유적 |
저자 고일홍(아시아연구소 HK교수) 『창원 다호리 유적 재조명 III – 다호리유적과 진·변한의 세계』 (국립김해박물관, 2024) |
|
 |
|
창원 다호리유적은 어떻게 동아시아사와 세계사와 연결될 수 있을까? |
고일홍 아시아연구소 HK교수는 창원 다호리유적의 국제성에 주목하며, 이 집단이 외부 세계와의 연결을 구체적으로 인식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호리 집단의 역사를 지역사가 아닌 동아시아사·세계사의 일부로 바라보고자 한다. |
|
|
 |
 |
논문 #01 |
|
|
초국적 아랍 정체성과 국가 이익 사이의 긴장: 아랍 국가의 팔레스타인 난민 정책을 중심으로 |
저자 황의현(아시아연구소 서아시아센터) |
초국적 아랍 정체성의 정치적 영향력 상실은 어떻게 팔레스타인 문제의 주변화로 이어졌는가? |
이 연구는 아랍 정치에서 초국적 아랍 정체성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팔레스타인 문제의 중요성도 함께 감소했음을 분석한다. 아랍 국가들은 범아랍 연대보다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하며, 팔레스타인 난민을 점점 더 타자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했다. |
|
|
 |
 |
논문 #02 |
|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 32, Issue 2. |
|
Wavering theocratic ideology and the politicization of Shia identity: Iran's ideological rifts amid geopolitical maneuvers |
저자 구기연(아시아연구소 서아시아센터) |
이란은 내부의 정체성 위기와 외부의 영향력 확장을 어떻게 동시에 관리하며 정권의 정당성을 유지하려 하는가? |
이 연구는 이란이 내부적으로 젊은 세대의 반발 등 정체성 갈등을 겪는 동시에, 시리아, 이라크, 레바논, 예멘 등 중동 각지에서 시아파 세력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음을 분석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외 전략은 경제 부담과 내부 불안정을 심화시킬 수 있으며, 미국과의 핵 협상, 아랍-이스라엘 관계 개선 등 외부 환경 변화도 이란의 전략에 도전을 가하고 있다. |
|
|
|
지난 웹진 보기 |
 |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101동) 성과확산팀(309호) |
Tel 02-880-2087 |
E-mail snuac.webzine@snu.ac.kr |
|
|